1/1 페이지 열람 중
의료폐기물과 일반폐기물에 대한 분리배출 지침을 읽어보았습니다. 폐백신, 폐항암제, 폐화학치료제의 경우는 생화학의료 폐기물에 해당한다 하였고 빈 포도당, 영양제 수액, 바이알병은 일반폐기물이라 하였는데 암브록솔, 란틴등과 같은 폐화학 치료제 외 약물이 들어있던 빈 앰플은 의료폐기물인가요, 일반폐기물인가요? 수액, 영양제만 해당하는지 폐화학치료제가 아닌 약물의 경우도 일반 폐기물이라는 것인지 지침을 보아도 모호하게 해석되어 문의드립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9-09-06 13:45:58의료폐기물 분리와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일반의료폐기물 사례 관련 질문입니다. 병원에서 환자의 대소변 처리 및 체위변경 등의 행위를 하는 경우 일회용 비닐장갑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일회용 비닐장갑에 환자의 체액, 대소변, 혈액 등이 묻지 않은 경우엔 일반 생활 쓰레기로 배출이 가능한지요? 또한 치료중인 환자의 대소변, 분비물, 혈액 등이 묻은 기저귀, 거즈, 탈지면, 붕대 등의 경우 일반의료폐기물로 분류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데, 기저귀, 탈지면, 솜, 거즈, 면봉 등에 아무것도 묻어있지 않은 경우라면 일반 생활쓰레…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10-16 10:33:21안녕하세요 의료폐기물 분류에 대하여 문의 드립니다 사진첨부와 같이 앰플 중 손으로 따서 쓰는 앰플의 경우 (손으로 딴 부분이 약간 날카로움) 생물화학폐기물(골판지류, 15일)에 보관하지 않고 손상성(합성수지류, 30일)으로 처리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손으로 따서 쓰는 앰플이 경우 손상성 파손된 유리재질의 시험기구로 판단하여 손상성폐기물로 처리하는 것이 맞는지 문의 드립니다 .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8-22 09:08:11의료폐기물에 수액병,주사앰플등 유리병제제로 되어 있는 부분이 많이 있는데 이부분이 의료폐기물인지 아니면 재활용으로 분류되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만약 재활용이면 재활용 봉투에 담아 시군구청에서 수거하도록 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7-12-20 09:25:49의료기관에서 사용한 경우 수액병,앰플,바이알(유리류)을 같이 폐기하고 수액백은 따로 폐기해야하나요? 아니면 폐기물 박스에 다같이 넣어도 되나요? (항암제, 항생제 아닌 비타민제 사용 시)
dewn2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9-03-26 08:46:41앰플 병을 까서 안에 약제를 다 쓰고 난 후에 비어있는 깨진 앰플은 손상성인가요, 일반의료폐기물인가요?? 만약 앰플 병에 약제가 남아있다면 손상성인가요, 생화학폐기물인가요? 만약 생화학폐기물 통이 없다면. 생화학 폐기물을 손상성 통에 버려도 되나요?
recorder9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7-10 01:10:08치과에서 사용하는 마취앰플 리도카인 염산염수화물에피네프린 1.8ml (1:100,000) 마취 앰플 사용 하고 있습니다. 안에 용액 남아 있는거 상관없이 손상성 폐기물에 버려도 되는지 생물.화학 폐기물로 처리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tlsdbwl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5-25 11:14:36수고하십니다~~ 병원에서 사용한 앰플, 항생제 바이알, 비항생제 바이알, 수액백, 항생제 플라스틱 100cc 백, 폐기물은 어떻게 분류가 되는지요?
은앤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7-05-11 15:51:34보통 진료중 리도카인액을 사용하면 앰플안에 액이 남아있게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식으로 사용하고 남은 리도카인액이 들어있는 앰플은 액상폐기물인가요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6-03-14 13:56:11